/js/adsbygoogle.js?client=ca-pub-9733471828216946" "샤오미 대륙의 이동"..서울의 심장부 여의도 상륙, 소비자들 줄설까?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제,정치뉴스

"샤오미 대륙의 이동"..서울의 심장부 여의도 상륙, 소비자들 줄설까?

by 스가랴 2025. 7. 4.
728x90
반응형

‘중국판 애플스토어’ 한국 상륙…샤오미, 여의도에  "첫매장OPEN"

  • 샤오미는 오프라인 매장을 '사람-자동차-집'을 연결하는 핵심 생태계의 중요한 매개체로 보고 있습니다.
  • 한국 시장을 전략적 거점이자 큰 잠재력을 가진 시장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다양한 제품을 한 곳에서 체험할 수 있는 '스마트 허브' 역할을 하게 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샤오미가 한국 시장에서 단순히 제품 판매에 그치지 않고, 자사의 스마트홈, 모빌리티 등 다양한 제품군을 아우르는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전략적 의도를 엿볼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고객들이 샤오미의 제품과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브랜드 충성도와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샤오미 여의도 첫 매장, 직접 가보니 "이제 진짜 한국 공략 시작이구나"

 

💕매장 첫인상: "중국판 애플 스토어가 여의도에 상륙했다"

여의도 IFC몰 L2층에 문을 연 샤오미 스토어에 직접 가보니, 첫 느낌부터 남달랐다. 약 60평 규모의 매장은 생각보다 넓고 깔끔했다. 흰색과 오렌지 컬러로 통일된 인테리어는 마치 애플 스토어를 연상시켰지만, 더 친근하고 접근하기 쉬운 분위기였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실제 생활공간을 그대로 재현한 체험형 쇼룸이었다. 거실, 침실, 주방 등을 실제 집처럼 꾸며놓고 샤오미 제품들을 자연스럽게 배치해 두었다. 단순히 제품을 진열만 해둔 게 아니라 실제로 사용해볼 수 있도록 모든 제품이 작동 상태로 준비되어 있었다.

 💕제품 체험기: 가격대별 라인업이 탄탄하다

스마트폰 라인업

  • 샤오미 14 Ultra: 150만원대, 플래그십 모델
  • 샤오미 14: 90만원대, 메인스트림 프리미엄
  • 레드미 노트 13 Pro: 40만원대, 중급형
  • 레드미 12: 20만원대, 보급형

실제로 만져보니 40만원대 레드미 노트 13 Pro의 완성도가 상당했다. 카메라 성능이나 디스플레이 품질이 국내 브랜드 70-80만원대 제품과 비교해도 크게 뒤지지 않는 느낌이었다.

웨어러블 & 오디오

  • 샤오미 워치 S3: 15만원대
  • 샤오미 밴드 8: 5만원대
  • 버즈 5: 12만원대, 무선 이어폰

특히 5만원대 밴드 8의 가성비가 눈에 띄었다. 삼성 갤럭시 워치와 비교해도 기본 기능은 거의 동일한데 가격은 1/4 수준이었다.

생활가전 라인업

  • 샤오미 TV 86인치: 180만원대
  • 샤오미 TV 65인치: 80만원대
  • 로봇청소기 S20+: 60만원대
  • 무선청소기 G20: 25만원대
  • 공기청정기: 30만원대

86인치 TV를 직접 봤는데, 화질이 상당히 선명했다. 180만원이라는 가격을 생각하면 국내 브랜드 대비 확실히 메리트가 있어 보였다.

🔧 AS 서비스: "이제 걱정 없이 살 수 있겠다"

  1. 판매와 A/S가 결합된 통합형 매장 운영
  2. 대형 가전까지 수리 가능한 익스클루시브 서비스 센터 운영
  3. 파트너사 협업을 통한 지역 서비스 제공

또한 조니 우 사장은 "브랜드 매출이 클수록 책임도 커지는 만큼 한국 소비자 기대에 부응하는 A/S 체계를 갖추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가장 큰 변화는 매장 내 직접 AS 서비스 제공이었다. 그동안 샤오미 제품의 가장 큰 약점이었던 AS 문제를 이제 오프라인 매장에서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직원에게 물어보니:

  • 스마트폰: 1년 무상 A/S
  • TV: 3년 무상 품질보증 + 무료 방문 설치
  • 청소기: 2년 무상 품질보증 + 무료 방문 수거·수리
  • 일반 제품: 당일 또는 익일 수리 가능

💰 가격 경쟁력: "이 가격에 이 성능이?"

직접 체험해보니 샤오미의 가장 큰 무기는 역시 압도적인 가격 경쟁력이었다.

실제 비교해본 가격대:

  • 65인치 TV: 삼성/LG 200만원대 vs 샤오미 80만원대
  • 무선 이어폰: 삼성 버즈 20만원대 vs 샤오미 12만원대
  • 스마트워치: 갤럭시 워치 30만원대 vs 샤오미 15만원대
  • 로봇청소기: 국내 브랜드 100만원대 vs 샤오미 60만원대

성능 차이는 크지 않은데 가격은 절반 수준이니,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는 확실히 매력적일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매장 전략: "체험 중심의 똑똑한 접근"

매장을 둘러보며 느낀 건 샤오미의 전략이 상당히 치밀하다는 점이었다.

  1. 체험 중심: 모든 제품을 직접 만져보고 사용해볼 수 있음
  2. 생태계 경험: 스마트폰-TV-청소기-조명이 연동되는 IoT 생태계 체험 가능
  3. 편의성: 매장에서 주문하면 집까지 배송 (1만5천원 이상 무료)
  4. 즉시 해결: AS부터 설치까지 원스톱 서비스

🚀 한국 시장 전망: "이제 진짜 경쟁이 시작됐다"

매장을 나오며 든 생각은 "이제 진짜 한국 시장에서 경쟁이 시작됐구나"였다.

샤오미의 강점:

  • 압도적 가격 경쟁력
  • 탄탄한 기술력 (3나노 AP 개발 성공)
  • 완성된 IoT 생태계
  • 이제 AS 걱정도 없음

한국 시장 변화:

  • LG전자 스마트폰 철수 후 선택지 부족
  • 프리미엄폰 외 대안 필요성 증가
  • 이미 샤오미 생태계 사용자 확산

조니 우 샤오미코리아 사장의 말처럼 "구매부터 사후서비스까지 샤오미 전체 생태계를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 완성된 느낌이었다.

앞으로 전국 확산 계획도 있다고 하니, 삼성전자와 애플이 독점하던 한국 시장에 진짜 변화의 바람이 불 것 같다. 특히 가성비를 중시하는 20,30세대와 실버세대에게는 상당한 어필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결론: 샤오미, 이제 한국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플레이어가 됐다.

728x90
반응형